본문 바로가기
돈이 되는 경제 정보

상장폐지에서 부활까지, 루이싱 커피의 과거와 현재

by 파이프라이너 2023. 6. 17.
반응형

루이싱 커피는?

루이싱 커피는 중국의 커피 전문점입니다.  2017년 베이징에 1호점이 설립된 이래 중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커피 전문점이 되었습니다. 루이싱 커피는 '배달 커피'라는 모토를 내걸고 고객이 휴대폰 어플로 커피를 주문하면 '18분' 내에 배달해 주겠다고 대대적으로 광고했습니다. 고객이 언제 어디서든 따뜻한 커피를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했고 중국 내에서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Unsplash 의 P. L.

루이싱 커피의 나스닥 상장

커피 사업이 날로 번창하자 투자자들은 루이싱 커피에 주목했습니다. 루이싱 커피는 2019년 5월 나스닥에 상장하면서 엄청난 자금을 조달하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아마도 중국에서 스타벅스의 아성에 도전할 만한 기업으로 성장한 유일한 기업이었을 것입니다. 루이싱 커피는 배달서비스와 대대적인 마케팅, 그리고 스타벅스보다 더 비싼 원두를 사용하는 고급 커피 이미지 전략도 구사했습니다. 창업한 지 2년 만에 4,507개의 매장을 가졌는데,  스타벅스가 20년간 늘려온 매점보다 더 많은 수였다고 합니다.

루이싱 커피의 몰락

루이싱 커피는 나스닥에 상장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지만 한순간에 몰락하였습니다. 그 원인은 바로 분식회계였습니다. '머디 워터스'라는 리서치 회사는 루이싱 커피가 분식회계를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머디 워터스는 미국에 상장된 부실기업을 찾아내고 그 기업 주식의 공매도를 통해 큰 이익을 창출하는 회사였습니다. 머디 워터스는 1,500여 명의 사람을 투입하여 루이싱 커피의 점포를 관찰하고 다량의 영수증을 분석했습니다. ​매출이 증가하려면 판매량과 판매가격이 늘어야 합니다. 루이싱 커피는 두 가지를 조작하여 흑자전환했다고 대대적으로 알리며 주가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루이싱 커피가 사용한 분식회계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분식회계 1 : 커피 판매량이 과대평가되었다.

머디 워터스는 커피 매장의 주문번호가 차례대로 나오지 않고 번호가 건너뛰며 생성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루이싱 커피는 주문번호를 순서대로 1, 2, 3번으로 생성하는 게 아니라, 1, 3, 5번 같이 건너뛰는 식으로 번호를 생성시켜 판매수량을 실제보다 많게 보였습니다. 이 때문에 커피 판매량이 늘어나 매출액이 증가한 것처럼 보였습니다.

분식회계 2 : 잔 당 판매가격이 과대평가되었다.

머디 워터스는 커피 매장의 영수증으로 잔 당 실제 판매가격도 계산했습니다. 실제 판매가격은 루이싱 커피가 주장하는 가격보다 낮다는 사실을 알아차렸습니다. 루이싱 커피는 잔 당 커피의 가격이 정가의 55% 수준이라고 주장했지만 머디 워터스는 46%로 조사하여 잔 당 판매가격이 과대평가되었음을 알렸습니다.

분식회계 3 : 가상의 광고비가 집행되었다.

루이싱 커피는 매장의 거짓 수익을 숨기기 위해 본사의 광고비를 부풀렸습니다. 매출은 늘었는데 실제로 판매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업 내 현금은 실제로 없습니다. 이 금액은 가상으로 광고비를 집행한 것으로 조작했습니다. 당장은 매출 증가로 보이지만, 실제 현금이 없기 때문에 얼마 있으면 들통날 분식회계였습니다. 결국 루이싱 커피는 나스탁에서 상장 폐지가 되었고, 루이싱 커피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주식은 하루아침에 휴지조각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루이싱 커피 자체는 망하지 않고 계속 영업을 지속하였습니다. 중국 내에서도 루이싱 커피는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주장했습니다.  참 문제가 많네요. 투명하지도 않고 뻔뻔하기도 하고. 루이싱 커피에 투자한 주주들의 주식은 하루아침에 휴지조각이 되어버렸습니다. 루이싱 커피의 사례는 재무제표를 볼 때 손익계산서와 함께 현금흐름표도 꼭 같이 봐야 한다는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루이싱 커피의 부활

루이싱 커피는 기사회생하여 화려하게 부활했습니다.  중국 내에서 스타벅스를 따돌리고 1만 매장 돌파를 앞두고 있습니다. 2023년 6월 현재 루이싱 커피의 주가는 22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교훈! 꺼진 불도 다시 보자. 그리고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는 항상 같이 보자.

반응형